우리투데이 차한지 기자 | 조선실록에 나오는 한지기록을 스크랩하여 연재 하기로 한다. 우리 조상들의 한지사용과 기록된 역사를 보고 전통문화가 첨단산업의 보물창고로 인식되는 기회가 되어 4차 산업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지표가 되기를 바란다. 태종19권, 10년(1410 경인 / 명 영락(永樂) 8년) 6월 29일(갑자) 3번째기사|닥나무.세초.한지지폐 의정부(議政府)에 명하여 저화(楮貨)를 의논하게 하였다. 임금이 하윤(河崙)의 헌의(獻議)로 말미암아 이응(李膺)·황희(黃喜) 및 여러 대언(代言)을 불러 말하기를, “저폐(楮幣)의 이익을 내가 가볍게 중지하였다. 정부(政府)로 하여금 다시 의논하게 하라.” 하니, 김여지(金汝知)가 아뢰기를, “신이 계미년에 일찍이 대원(臺員)이 되어, 대사헌(大司憲) 이첨(李詹) 등과 더불어 저폐를 행하기를 청하여 글을 다섯 번이나 올렸으나, 유윤(兪允)을 받지 못하였습니다. 대저 저폐(楮幣)의 법은 동전(銅錢)·피폐(皮幣)·화패(貨貝)· 교자(交子)1713) 가 대(代)마다 각각 같지 않으나, 그 요점은 대개 사람마다 이병(利柄)을 잡지 않게 하려고 한 것입니다. 전하께서 일찍이 상국(上國)에 조회하여 저화의 법을 밝게
우리투데이 차한지 기자 | 한지공예명장이 부산,인천,전주,고양등 지방에서 선정되고 지정된다. 전통공예의 명맥을 이어가는 한지의 매력은 무궁무진하다. 한지공예의 깊은 매력에 빠져 있다보면 격조있게 기품이 돋보이는 한지공예의 우수한 작품성 실용성 가치성에 반하게 된다. 인천시에서 한지공예명장에 선정 되신 이미자 명장을 만나보았다. 한지공예는 주로 스승이 있어 도제식 교육으로 전수 되는게 일상이다. 일상도제식 교육과 달리 한지공예를 독학으로 습득하게된 특이한 이력의 주인공이다. *한지공예를 알게된 동기 한지라는 종이를 우연히 접하게 되었는데 보자마자 한지에서 풍겨 지는 매력에 빠져들게 되었고 1988년 당시 뒤웅박공예 공방을 운영하고 있었는데 뒤웅박 재료를 판매하시는 정순석 선생님께서 한지공예 재료를 얹어 판매를 시작하시면서 점차 다양한 디자인이 개발되었고 한국취미생활문화협회 회원들도 재료를 사고 더러는 새로운 디자인도 각자 개발하면서 본래의(뒤웅박공예)작업은 접고 한지공예 작업에 몰두하여 현재의 시간까지 한지공예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한지공예는 누구로부터 배우셨나요? 재료를 정순석선생님께 구입하였으며 서로 좋은 작업 과정, 디자인, 제작기법 등 서로 공유 하는
우리투데이 차한지 기자 | 정계화 고현갤러리 대표는 부산시 한지명장으로 선정되었다. 고(故) 상기호 한지공예가로부터 사사받은 전통공예의 체계에 현대적인 감각을 접목시키며 계승·발전시키고자 힘써온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 정 회장은 공예명장 선정에 대해 “영예를 바라고 한 일은 아니었지만, 앞으로는 더욱 강한 책임감과 사명감으로 한지공예 발전에 힘쓰겠다”는 각오를 밝혔다.또한 “다른 예술분야와 달리 우리 전통공예 분야는 쉽게 접하거나 배울 수 있는 기회가 극히 드문 상황이다. 우리 민족의 역사와 삶, 정신이 담겨있을 뿐 아니라, 해외에서는 그 우수성과 아름다움을 극찬 받고 있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국내에선 소홀히 다뤄지고 있다”며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정 회장은 기존 도제식 교육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한지공예의 이론과 문양, 실용 등의 내용을 담은 책을 꾸준히 펴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이 쌓여 훗날 후배와 제자들의 손에 의해 세계 속에 한지공예가 더 높이 도약할 초석이 되리란 생각에서다.정 회장은 “과거와 현재를 잇는 일은 곧 우리 모두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일”이라며 “우리의 작은 노력이 우리 사회가 지켜나가야 할 진정한
우리투데이 차한지 기자 | 국민의 힘 의원총회에서 추경호 의원이 이준석 당대표 사퇴결의안을 채택하여 찬반투표중이다.
우리투데이 차한지 기자 | 조선왕조실록에서 한지분야 설명을 발췌하여 정리해보니 우리 조상의 풍부한 어휘에 감탄을 자아낸다. 조지서(造紙署) : 본조에서 처음 설치하였는데, 표(表)ㆍ전(箋)ㆍ자문(咨文)에 소용되는 종이와 제반 지소(紙所)를 관장하게 하였다. ○ 세종이 조지서를 설치하여 자문(咨文)ㆍ표(表)ㆍ전(箋)에 소용되는 종이를 감조(監造)하게 하고, 또 책 찍는 종이와 여러 종류의 종이를 제조하였는데, 그 품질이 한결같지 않아서 고정지(藁精紙)ㆍ유엽지(柳葉紙)ㆍ유목지(柳木紙)ㆍ의이지(薏苡紙)ㆍ순왜지(純倭紙)가 있어 모두 극히 정제(精製)되었고, 서적을 찍은 것 역시 좋았는데, 지금은 다만 고정지ㆍ유목지 두 종류뿐이고, 자문ㆍ표ㆍ전의 종이도 또한 옛날만큼 정제되지 못하였다. 《용재총화》 섬계(중국 종이의 명산지)의 종이로 이루었네 / 渾將剡紙成 [주-D001] 경지(經紙) : 불가(佛家)에서 경적(經籍)에 사용하는 황지(黃紙)를 말한다. [주-D001] 측리지(側理紙) : 종이의 이름이다. 해태(海苔)를 재료로 삼아 제조한 종이인데, 그 결이 종횡(縱橫)으로 비스듬하게 되었으므로 이른 말이다. [주-D001] 끼우는 핫보[隔襦袱] : 옥책의 첩과 첩 사이
우리투데이 차한지 기자 | 흑 호랑이 해인 임인년 벽두에 전통문화 산업중에서도 한지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제언 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한지 발전은 이렇게"라는 슬로건으로 시작한다. 대한민국은 닥나무 한지라는 중요한 보물을 간직하고 있다. 한지박물관에 전시된 한지 유물은 가히 인류역사를 총 망라한 세계에서 보기 드문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한지의 쓰임과 한지 박물관은 세계의 부러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단순한 부러움이 아니라 한지의 총체적인 교육 역사 지리적 환경 등이 완벽 하리 만큼 갖추어진 곳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설과 주변 환경이 잘 조성된 곳은 대한민국 어디를 가보아도 보기 드문 한지 박물관 인프라 이다. 훌륭한 환경 여건과 인적자원 기술력을 보유한 대한민국 한지산업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게 된다. 한지를 지역의 중요한 한지문화산업콘텐츠로 살리고 이를 관광산업과 연계하여 세계적인 문화 콘텐츠로 발전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천혜의 자연 환경을 보유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한지산업 잠재력은 대한민국 한지발전의 원동력이 될 것이다. 닥나무 식재 사업은 묘목만 지원 하는 것은 바람직한 지원이 아닙니다. 지금까지 닥나무 식재사업의 실패 원인이다.. 닥나무산업을 성공
우리투데이 차한지 기자 | 통일부는 2022년 달력에 김정일생일 북한 조선인민군 창건일을 표기한 달력을 제작해 배포하여 논란의 중심이 되고있다. 통일부가 만든 내년 탁상 달력 2월 부분을 보면 화요일인 8일과 수요일인 16일에 각각 빨간 글씨로 ‘북(北), 조선인민군 창건일(48)’ ‘북, 김정일 생일(42)’이라고 적혀 있다. 2월 1일에 적힌 ‘설날’과 같은 붉은색이다. 괄호 안 숫자는 인민군이 창건된 1948년과 김정일이 태어난 1942년을 뜻한다. 그 밖에 2월 10일 ‘개성공단 전면 중단 발표(16)’ ‘북, 핵무기 보유 선언(05)’, 12일 ‘북 3차 핵실험(13)’, 19일 ‘남북 기본합의서 발효(92),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 발효(92)’ 등은 검은 글씨로 표기돼 있다.
우리투데이 차한지 기자 | 산화그래핀이 어떻게 몸 안에서 자성을 띠느냐 그래핀은 비록 뛰어난 기계적 및 전자적 특성을 가지고는 있지만 일반적인 자기적 특성은 없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백신에 함유되어 접종자의 신체 안으로 들어가면 자석이 달라붙는 자성을 가지게 됩니다. 그 이유는 수소 원자 때문이다. 몸 안에서 물 분자의 이온화현상으로 수소 원자들(Hydrogen atoms)이 산화그래핀 격자의 탄소 원자들(carbon atoms) 에 붙어버리면 (bonding) 놀랍게도 자성을 일으키는 특성이 마술같이 새로 생겨진다. 즉 수소 원자가 그래핀과 접촉 할때에만 자기모맨트 (magnetic moment)를 가지게 된다. 그래핀의 벌집(6각형) 구조는 2개의 삼각형 모양의 하부 격자로 나누어지는데 이들 하부 격자들 사이의 불균형이 있을때는 자성이 생기고 균형이 잡히면 자성이 사라진다. 따라서 외부에서 누군가가 또는 내부의 자체적 화학적 전이(이온화) 현상으로 수소 원자의 변화만 유도하면 신체는 산화그래핀으로 인해 자성을 띨때도 있고 그렇지 않은 상태가 되기도 한다. 과학자들이 "마그네틱 스위치"라는 개념을 만들어냈는데 인체내의 산화그래핀과 수소 원자간의 자기 모멘트
우리투데이 차한지 기자 | 근대 한지공예를 말한다. 한지공예는 근대 공예가 주류를 이룬다 오색한지공예 고색한지공예 닥종이인형 합지공예등이 한지공예의 맥을 형성하고 있다. 한지공예의 맥은 전통공예인 지승공예. 지화공예보다 근대 상기호씨가 한지공예의 큰 물줄기를 이루어 왔다. 닥종이 인형작가 김영희 1993년 대통령으로 당선된 김영삼 전 대통령은 취임사에서“변화와 개혁을 통한 신한국 창조”를 국정 과제로 내세웠다. 부정부패 척결과 경제 회생, 국가 기강확립이 세부 과제였다. 부정부패 척결을 위해 과거 기득권층을 대대적으로 사정했다. 사정의 칼날을 번득이며 한쪽에선 국민의 삶의 질 향상으로 당근을 제시하는 정책속에 중산층 육성 사업을 펼쳐가며 문화 활동을 적극 장려 하는 정책을 펼치게 된다. 당시 중산층 문화활동의 대대적인 사회 분위기가 형성되고 유럽으로 경제사절단과 순방을 떠나며 사절단중 계정제지의 최낙철 회장이 함께 가게 되고 김영삼 대통령이 독일 순방시 김영희씨의 공방을 방문 당시 김대통령이 닥종이 인형에 관심을 보이자 뒤따르던 최낙철 회장이 거금을 들여 닥종이 인형을 구매 하여 한국에 가져오게 된다. 당시 한국은 중산층 바람이 불며 각 백화점에 문화센터를
우리투데이 차한지 기자 | 조선왕조실록, 고전번역서에 기록된 한지명칭(272종류) 검색확장 "紙"에 대해 총41,627건의 자료가 검색됐다.(한국고전종합 DB에서 발췌)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어진 한지가 한지라는 명칭으로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 구체적인 증거는 없다. 한지 명칭은 구한말 이후 부터 자연스레 사용 되었다. 전통문화 한지,한복,한식,한옥등은 다양한 이름이 있었다. 한복은 장옷.철릭.당의.등으로 한옥은 기와집. 초가집. 너와집. 등으로 한식도 각기의 명칭이 다양하게 사용되고있었다. 어느순간부터 한지.한복.한옥.한식.한글.등으로 한이 앞에 사용되어 우리전통문화를 집약하는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고전번역서 기록은 한지명칭이 사용처에따라 다양한 이름이 붙여져 사용되어다는 것을 알수있다. 다양한 한지 명칭 ㄱ.(48) 간지(簡紙).강지(講紙).견지(繭紙).관지(官紙).고공지(考功紙).공지(貢紙)공지(空紙).궁전지(宮箋紙).교문지(敎文紙),공사하지(公事下紙).곡지(糓紙 나무껍질을 이용한 것). 곡첩지(曲貼紙).견지(繭紙).경지(經紙).과지(課紙).과지(裹紙),계지(界紙).계목지(啓目紙)). 감시낙폭지(監試落幅紙).ㆍ각장후유지(各張厚油紙).계하 표지(啓下標紙)’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