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 문화의 뿌리는 우리 문화다
우리투데이 기고 박동 | 아서라! - 고려의 하늘이다 꿈결같았던 풀밭을 밤사이 그려본다. 그 곳에서 시계바위라 불리던 궁초석이 있었다. 둘째형이 막내를 품에 안고 찍은 흑백사진. 지금은 그마저 사라졌지만, 궁초석의 흔적은 분명했다. 맞다. 그 곳이 백악신사의 터다. 오늘날까지도 백악신사의 자리를 찾지 못하는 우리 사학계의 질문이 물밀 듯 사라졌다. 아마도 그 옆 자리에 한 각석의 머릿돌과 백악정상의 맷돌바위는 신성한 백악신사의 기호다. 신사는 일본에만 존재하는 문화로 알고 있다. 일본 고대사의 시원은 우리 대한민국이다. 대한민국의 신문명이 일본이다. 당연히 [신사] 문화의 뿌리는 우리다. 600년전 조선개국과 함께 [천도]는 백악신사, 목멱신사의 봉작으로 여명을 시작했다. 백악신사의 퇴적층은 시계바위, 둘째형이 막내를 품에 안던 흑백사진 그 자리다. 백악신사는 [鼎]궤의 모태신앙처의 성소다. 목멱신사는 [木]궤의 부태신앙처의 성소다. 삼족오 태양본체의 궤와 어머님의 탯줄을 담아낸 신성의 영적영역 즉 국가의 시원세계를 안내한다. 백악의 맷돌바위 백악신사의 금송솔밭은 수도서울의 으뜸, 자연경관 신비함을 담고 있다. 운용천- 즉 용이 승천하는 계곡을 끼고 구릉지에
- 기고 박동 기자
- 2025-10-08 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