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뉴스제평위가 운영 중단 2년만에 2025년 6월에 새롭게 출범했으나, 재개까지 시간이 걸릴듯하며 이러다가 2025년을 넘길지도 모르는 상황에 직면했다.
내년에는 지방선거도 있는데, 결국 '지방선거'에 영향을 고려해 또다시 미뤄진다면 네이버는 결국 앞으로도 힘들것으로 보여진다.
네이버 뉴스제평위가 운영 중단을 하는 사이에 결국 신규 언론사는 '네이버 진입'이 막히고, 기존 네이버 진입 언론사만 이득을 보는 상황이 발생해 그 피해는 결국 신규 언론사들만
보게 되는 셈이다.
본지는 2020년 11월 21일 창간식을 가졌으며, 2021년 7월 1일자로 창간호를 발행하며 현재 기준 만 4년이 지났으며, 한번도 네이버 심사를 받아본적도 없는 실정이다.
그런 가운데 2025년 10월 7일 현재 하루 조회수 5,000회에 육박하는 상황이고, 추석 연휴 이후에는 3개 국어(한국어, 영어, 중국어)로 지면신문을 발행할 계획을 가지고 준비중이다.
네이버 뉴스제휴위가 과연 언론사를 상대로 입점심사를 올해 할지, 아니면 내년으로 미뤄질지 모르겠지만 그건 결국 네이버 자체의 신뢰가 무너지는 것임을 네이버 경영주는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할것이다.
Naver's News Evaluation Committee, suspended for two years, relaunched in June 2025. However, it appears the resumption will take time, and the situation may even extend beyond 2025.
With local elections scheduled for next year, if the process is delayed again due to concerns about influencing the ‘local elections,’ Naver will likely continue to face difficulties going forward.
During the News Evaluation Committee's suspension, new media outlets were effectively barred from entering Naver, while existing Naver-listed media outlets gained an advantage. Consequently, the damage falls solely on the new media outlets.
This publication held its launch ceremony on November 21, 2020, and issued its inaugural issue on July 1, 2021. As of now, it has been four full years, and it has never once undergone Naver's review process.
Amidst this, as of October 7, 2025, our daily page views are approaching 5,000. Following the Chuseok holiday, we plan to publish a print newspaper in three languages (Korean, English, Chinese) and are currently preparing for this launch.
Whether Naver's News Partnership Committee will conduct its vetting process for media outlets this year or postpone it to next year remains uncertain. However, Naver's management must seriously consider that this ultimately undermines Naver's own cred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