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지상철'이 사라진다,,,지하철 시대 개막

  • 등록 2024.02.25 15:54:19
크게보기

 

우리투데이 이동현 기자 |  서울에 '지상철'이 사라지고 지하철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서울시가 지상철도 지하화 및 철도부지 상부 개발을 위한 준비 작업에 나섰다.
25일 서울시는 정부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철도지하화특별법)’ 제정에 맞춰 지상철도 상부에 대한 도시공간구상 및 개발방안을 수립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기본구상 용역을 오는 3월 발주한다고 밝혔다.

철도지하화특별법은 지상 철도를 지하화하고, 지상 부지와 그 주변을 국유재산 출자 등을 통해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올해 1월30일 제정돼 2025년 1월31일부터 시행된다. 향후 국토부에서 중장기계획인 ‘철도지하화통합개발에 관한 종합계획’을 수립하면, 그에 따라 서울시가 노선별로 ‘철도지하화통합개발 기본계획’을 수립한 뒤 사업시행에 들어갈 전망이다.

현재 서울시에는 총 71.6㎞의 국가철도 지상구간이 도시를 가로지르고 있어 소음, 분진 등 환경문제와 철도로 인한 지역 단절 등 문제를 겪고 있다. 지상철도는 크게 역사(정거장), 주변지역과 비슷하거나 더 낮게 형성된 선로 구간, 고가 및 철교 등의 형태로 구성돼 있다.

시는 용역을 통해 국토부가 수립하는 종합계획에 서울시 여건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시는 시 전체 지상철도 구간에 대한 선제적 공간계획을 상반기 중 수립하고, 하반기 국토부에 선도사업을 제안, 2025년에는 노선별 공간계획을 마련해 국토부의 종합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2025년까지 철도지하화통합개발에 관한 종합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올해 연말 철도지하화 선도사업을 선정하기 위해 오는 9월 지자체로부터 제안을 받을 계획이다. 시는 내년까지 서울시 도시계획 체계 및 공간구조에 따른 전체 지상철도 및 주변지역 상부에 대한 개발구상을 수립하고, 지하화 및 데크화 등 유형별 입체 복합화 방안 마련, 노선별로 사업성 검토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사업추진이 필요한 구간에 대해선 국토부 선도사업으로 제안해 종합계획 수립 이전에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할 예정이다.

또 지상철도 구간이 포함된 15개 자치구를 포함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는 한편, 추진 과정에 있어 지역주민 의견을 경청해 여론을 수렴할 계획이다. 도시, 건축, 조경, 교통, 철도, 부동산 등 전문가 자문단을 꾸려 철도지하화 주변지역 기본구상 수립 방향을 설정해 나가려 한다. 중앙정부와도 협의를 거쳐 기본구상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철도 지하화는 서울 내에서 이뤄졌던 그간의 도시개발.도시정비 사업과는 또 다른 도시공간의 대대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며 “지상철도 지하화를 위한 발 빠른 대응과 서울의 도시 대개조를 통해 도시경쟁력 향상, 지역발전, 시민을 위한 공간 확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동현 기자 dhzzang9930@gmail.com
Copyright @(주)우리투데이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우리투데이 주소 :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정동 793, 302호 등록번호 : 경기 다50706(일반주간신문) 발행인 : 주식회사 우리투데이 | 대표이사 : 이승일 | 발행 : 이승일 편집인 : 이승일(010-9536-4336) 등록번호 : 경기 아52925(인터넷신문) 발행인 : 이승일 편집인 : 이승일 대표 이메일 : xtlsia@naver.com 법인사업자등록번호 : 332-86-02272 업태 : 정보통신업 종목 : 신문 발행업(정기간행물) Copyright @(주)우리투데이 Corp. All rights reserved.